나날이 올라가는 교통비, 그리고 더욱 심화되는 환경 문제가 신경쓰이신다면,
이 두가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
바로 K-PASS(K패스,케이패스)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.
현재는 알뜰교통카드로 이용되고 있는 K-PASS는 어떤 점이 다른지 확인해볼까요?
※ 2024.04.24 포스팅 내용 업데이트 - 오늘부터 케이패스 카드 발급이 시작되었습니다.
아래의 케이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알뜰교통카드 자세히 알아보기
만약 내가 서울에 살고 있고, 한 달에 교통비가 6만 2천원 이상이 나온다!
그렇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이득인데요.
아래 버튼을 클릭해서 바로 기후동행카드로 교통비 절감 신청하시길 바랄게요!
기후동행카드 바로 신청하기
![]() |
![]() |
![]() |
#K-PASS가 뭔가요?
K-PASS(K패스,케이패스)는 내가 이용하는
대중교통의 교통비를
20%~53%를 환급해주는 교통카드입니다.
현재는 알뜰교통카드로 이용되고 있으나,
2024년 5월부터는 알뜰교통카드가 K-PASS로 바뀌게 됩니다.
현재 이용중인 알뜰교통카드보다 편하고 높은 적립을 할 수 있도록 바뀐다고 하니,
더욱 기대감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#K-PASS 환급 기준
K-PASS는 소득조건, 직업조건 등 별다른 조건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
다만, 나이나 소득에 따라 차등 환급이 이루어지는데요!
일반 성인은 20퍼센트,
만 19 ~ 34살의 청년은 30퍼센트,
그리고 기초수급자와 저소득층은 53퍼센트의 비율로 환급됩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#K-PASS 환급 조건
하지만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
일정 횟수 이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데요!
무조건 한 달에 15회 넘게 대중교통을 이용해야하고,
최대 60회까지 요금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#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점
현재 많은 분들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는데요.
앞으로 도입될 K-PASS는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.
첫 번째로는 출발지와 도착지에서 출도착 버튼을 눌러서 이동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사라진다고 합니다.
두 번째로는 이동거리에 따라서 내가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금액에서 적립금액이 달라지는 차등 지급이었는데, 이 부분도 사라진다고 합니다.
결국,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금액을 기준으로 마일리지가 일정하게 적립되는 것입니다.
"그렇다면 이렇게 편리한 K-PASS, 어떻게 신청할 수 있을까요?"
![]() |
![]() |
![]() |
#K-PASS 신청방법
---
※ 2024.04.24 포스팅 내용 업데이트 - 알뜰 교통카드를 이미 이용하고 계신 분들이
알뜰 계정을 그대로 이용하시려면 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해야합니다.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알뜰교통카드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4월 30일 화요일까지 [K-패스] 메뉴에서 회원 전환을 합니다.
2. 5월 1일 수요일이 되면 K-패스 앱으로 업데이트합니다.
3. 로그인할 때는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.(자동로그인이 해제되기 때문에 꼭 사전에 아이디, 비밀번호를 저장해주세요)
4.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자동 적립이 시작 됩니다.
※5월 1일 이후에 회원 전환하면 전환일로부터 적립 시작
※K-패스에 신규 가입하면, 알뜰교통카드에서 이용했던 아이디는 K-패스에서 이용 불가
---
K-패스는 2024년 5월부터 이용 가능한데요.
이미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계신 분들이라면,
알뜰교통카드를 해지할 필요가 없이,
5월부터 K-패스로 변경을 신청할 수가 있습니다.
따라서 현재는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다가,
5월에 K-패스가 나온다면, 그때 이용 변경을 신청하면 되겠네요.
아직도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시다면,
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알뜰교통카드를 신청하시길 바랄게요!
알뜰교통카드 신청하기
기후동행카드 신청하기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